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모저모/마케팅 스크랩

브랜드(Brand)가 만들어지는 과정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1. 브랜드 전략 수립 2. 브랜드 네이밍 3. 브랜드 디자인 4.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기업브랜드와 제품브랜드의 탄생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수의 기업브랜드는 (특히 역사가 오래된 기업일수록) 어떤 상업적인 전략을 배경으로 만들어 졌다기 보다는, 창업자의 이름을 따거나, 창업자가 좋아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간단히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유한양행은 창업자인 유일한 박사님의 이름에서 '유한'을 땃고, 심볼로 사용하는 버드나무 또한 유박사님의 성인 '버들 유(柳)'자에서 만들어졌다. 한국통신, 한국전력은 지금은 명칭이 바뀌었지만, 간단히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명칭이었다. 삼성, 현대 등은 어떤 전략적인 고려.. 더보기
내가하는 트렌드... DIY 닥터족, 인스피리언스족, 메이드 바이 미 열풍 내가하는 트렌드... DIY 닥터족, 인스피리언스족, 메이드 바이 미 열풍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8.4.17) 미국의 건강관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가장 거대한 트렌드는 자기가 스스로 의사 역할을 하는 DIY 닥터족이다. 이들은 자기에게 나타나는 증상을 스스로 찾아보고, 질병을 진단하며, 치료도 스스로 한다. 마지못해 병원을 찾는 일이 있어도 자신에게 필요한 처방을 이미 알고 있기에 의사를 마치 처방전 자동 발행기처럼 취급하거나, 아니면 WebMD(인터넷 의료정보 서비스업체)에서 자가 진단을 받고 자신이 걸린 병이 어떤 것인지 속속들이 파악한 상태에서 진료실에 들어서곤 한다. 마크 펜 등의 '마이크로 트렌드' 중에서 (해냄, 173p)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확산, '안전'에 대한 관심 고조, 경제.. 더보기
마케팅과 문화... 중동에서 명품 냉장고가 팔리지 않는 이유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8.3.19) 세계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하나의 제품을 위한 전략 안에서 여러 가지 코드를 한꺼번에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미국 기업이 독일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에 대한 독일인의 코드와 더불어 질서와 존 웨인이라는 코드에 부합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프랑스 시장에서 좀더 많은 물건을 팔고 싶다면 역시 해당 제품에 대한 프랑스인의 코드와 더불어 사상과 외계인이라는 코드에 잘 맞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어떤 나라의 기업이든 세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에는 각국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다. 클로테르 라파이유의 '컬처 코드' 중에서 (리더스북, 268~269p) 지난해 한 가전업체에서 보석으로 장식된 냉장고를 중.. 더보기

반응형